주제 시나리오도!
채점 vs 문제 풀이 + ( 비즈니스(일단은?) vs 오픈소스 에 대한 방향)
- 어떤 ‘문제'를 줄 것인지 고민이다.
- ‘적당한 성능'을 낼건데 비즈니스 어필을 잘 할 것이냐? → 저작권 문제
- 성능을 고수하면서 오픈소스로 풀어버릴것이냐
- “어따 써?” 학계와 비즈니스 사이의 간극을 좁힐 수 있다면 괜찮을 듯
제일 좋은 문장/모델 붙여서 보다는, 의도에 fit 시켜서
- 사용 시나리오를 생각해보기
- 마일스톤기준 생각해보기 (정량적 기준)
(관련은 없지만 PPT 흐름이 아래와 같으면 좋을 것 같아요. 2기 종혁멘토님네 팀 슬라이드)
https://docs.google.com/presentation/d/1pmBbn0NuesvNO-vzAuRdGg0Ph0q09odh/edit#slide=id.g10947aea242_0_395
- 특히 위에서 아래 부분의 합의가 되면..!
- 주제선택
- 실제 문제 사례
- 현업자 피드백
- https://www.numble.it/ → 대표분한테 물어봤을 때 ‘보고서형'에 대한 간단한 grading/ 필터링 있다면 좋다고 ( 해당 사이트 챌린지 결과물 내용)
- 초등학교 선생님, 대학원 조교, 교수한테 물어봐볼 순 잇음 → 근데 이런 경우는 오프라인 실험 주로 보는 매체라서, online 서술형 채점을 해야하는 기관이 구체적으로 어떤게 있을지
- 우리 프로젝트의 정확한 기능 좁히기
- 서술형 문제 채점 방향이 좋을 것 같고, 그러면 어떤 ‘문제'에 대한 서술형일지 정의 필요
- 국어로 한정할건지?
- 수능 문제는 ‘긴 지문'의 내용을 전제에 두고 추가적인'보기' 글을 읽고 거기에 대한 생각 중 적합한 것 아닌것
국어영역_홀수형.pdf
서술형TEST 3단원.hwp